소설·시·에세이

산새가 등고선을 그리며 날았다

  • 저자 : 김희자
  • 출판사 : 달아실출판사
  • 발행일 : 2021년 02월 26일
  • 페이지 : 132면
  • ISBN : 9791188710935
  • 정가 : 8,000 원

도서구매 사이트

원하시는 사이트를 선택하여 주세요.

서정적 온기에 담긴 그리움과 울음의 미학
- 김희자 시집 『산새가 등고선을 그리며 날았다』

김희자 시인이 일흔의 나이에 첫 시집 『산새가 등고선을 그리며 날았다』를 상재했다. 김희자 시인은 이 시집을 통해 스스로를 “아버지에게, 남편에게 / 대물림 된 모멸의 시간”(「흐린 그 여자」) 속에 갇힌 여자라고 명명하며 물성에 잠식되어버린 우리의 삶을 고찰한다. 그가 칠십 년이라는 적지 않은 세월 동안 들여다본 세상은 “매번 얼굴을 바꾸는 전전긍긍”(「전전긍긍 수집가」)으로 전전긍긍하고, “썩은 바다가 쓰레기의 양분으로 / 성장하면 너덜거리”(「부산역, 여름」)리고, “시린 절망을 짊어진”(「주전자의 통증」) 채 걷다가 마침내 무거운 짐을 “울컥울컥 게워내”(「겨우살이」)고, “내 일생을 위해 누구의 일생을 갉아 먹고”(「호랑 배추벌레」), “허구의 창살만 만들기만 하고”(「살이 몇 개나 삐져나와」), “노동의 족쇄 헐떡이는 호흡으로 쉼 없어 흘러”(「커피 향에 스며들다」)가고, “탐욕과 비리가 / 즐비”(「세월을 삭이다」)하고, “흙탕물 위에 비양심이 엉켜 내려”(「타이밍」)오는 그런 그야말로 “백내장을 앓는”(「여름에 걸려」) 세상이다.
그리고 시인은 그런 욕된 세상을 자신의 아픔으로 받아들인다. 그런 연후에 자연과 함께했던 영성의 삶을 함께 기억해내자고 그 속에서 함께 삶을 치유하자고 권한다. 그러니 그의 시집을 읽어가다보면 “내 귀를 스켜 어깨를 토닥”(「손에 묻은 훈계」)이는 낙엽과 “새끼 잃은 어미 소 울음”(「울음의 온도를 발견하다」)이 비로소 들리고, “빈 어깨를 만지는”(「내 전생에는 몇 평의 밭이 있었을까」) 아버지가 보이고, “알 수 없는 이름의 풀과 꽃들”(「실상사를 가다, 일요일」)이 어느새 경전이 되고, 끙끙 앓게 했던 몸살마저도 “졸졸거리며 나를 일으켜 세”(「이빨 위에 떠 있는 몸살」)우게 될지 모르겠다.

김희자 시인의 첫 시집에 대해 유성호 평론가는 “서정적 온기에 담긴 그리움과 울음의 미학”이라 평하며 이렇게 말한다.

“김희자 시인의 첫 시집 『산새가 등고선을 그리며 날았다』는 오랜 시간 속에 웅크리고 있던 그리움과 울음의 에너지를 서정적 언어로 갈무리한 섬세한 기억의 축도(縮圖)다. 시인 스스로는 ‘열정의 객기에 끌려온 시들’(「시인의 말」)이라고 겸사(謙辭)를 했지만 그 저류(底流)에는 삶에 대한 애착과 자유로움, 기억의 선명함과 복합성, 되돌아갈 수 없는 시간에 대한 아쉬움과 그리움이 모두 출렁이고 있다. 그만큼 김희자의 시는 삶의 내력을 회상하고 해석해가는 속성을 강하게 띠면서 서정시의 근원적 창작 동기가 자기 투영과 성찰에 있음을 증명하는 사례로 다가온다.”

“김희자의 시는 일관되게 서정적 차원에서 시작되고 완결된다. 그녀의 시는 인간 내면의 파동과 그것을 감싸는 언어에 의해 비로소 형태를 얻어간다. 서정시의 존재 이유가 삶에 대한 끝없는 질문과 궁극적 긍정이라는 점에서, 김희자 시의 삶에 대한 신뢰와 긍정은 그녀가 구축해가는 서정적 차원의 확고한 밑거름이 되어준다. 또한 우리 시대가 문학조차 공공연히 상품 미학으로 포장되고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둘 때, 이러한 질문과 긍정의 힘은 서정시의 역설적인 정체성과 존재 이유를 선명하게 알려준다. 또한 김희자의 시는 우리로 하여금 삶의 상처들을 알아가게끔 해주면서도 삶의 본래적 지향인 존재론적 그리움을 느끼게끔 해주는 세계이다. 이 모든 것을 일러 우리는 시간예술로서의 서정시가 남겨가는 ‘주름’과 ‘그리움’의 세계라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시인은 이번 첫 시집을 통해 삶에 대한 균형과 조화의 감각을 종내 보여준 것이다. 오랜 시간의 결을 담은 실존적 고백을 남겨주었고 세계와 사물로 확장되어가는 감각을 보여주었다. 그 안에 담긴 사유와 감각이 단연 아름답고 충일하고 애잔하고 깊다. 이제 김희자 시인은 이렇게 아름다운 첫 시집을 딛고 일어서면서 더 견고하고 깊어진 서정적 언어와 표상으로 한 걸음씩 나아갈 것이다.”

더 무슨 말을 보탤 것인가. 그저 시집 속의 시 한 편 읽는 것으로 충분하겠다.

긴 겨울잠을 자느라
따뜻한 햇살도 무시했더니
이상한 소문과 수런거림에
문밖을 나선다
사방에 바람난 여자들 이야기

성급한 산수유는 순산을 하고
복사꽃은 누구와 눈을 맞추고
꽃단장에 바쁘고
매화는 화사한 웃음으로
순결한 척 시치미 떼고
찬바람에 옷깃을 여미고
목련은 불룩한 배를 안고
소문이 부끄러워 고개를 숙이고
볼록볼록 벚나무는
몇 쌍둥이가 나올까 까만 눈을 깜빡거리고

들판에 나가 보니
모두들 소문을 퍼 나르는 삽날 즐비하고

하늘거리는 아지랑이
나에게 추파를 던지고
갑자기 볼이 붉어진 가슴은
소문에 나도 들추어질까 속치마
- 「속치마」 전문

김희자 시인의 첫 시집 『산새가 등고선을 그리며 날았다』를 읽고 있다면 조심해야 할 것이다. 어쩌면 감추고 싶었던 당신의 속치마가 들추어질지도 모르니까.